Quick Menu

Quick Menu

Quick Menu

의학정보

진료시간

  • 평일오전 09:00 ~ 10:30
  • 평일오후 13:30 ~ 16:00
  • 토요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공휴일 휴진

※ 어깨,팔꿈치 중점치료(비수술)-전화예약필수※

02-414-0070

김진섭정형외과칼럼

  • 의학정보
  • 김진섭정형외과칼럼

등록시 입력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입력

제목

전방십자인대 손상

작성자명김******
조회수16195
등록일2004-02-12 오전 11:11:30
1. 정의

전방 십자 인대는 외측 대퇴골의 내측면의 후상방에서 시작하여, 경골의 과간 부위에 부착되며 약 20도 외측으로 비스듬히 주행하는 인대입니다. 전방 십자 인대의 길이는 약 38 mm 폭은 약 11mm 이며, 전내측과 후외측 2개의 큰 다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내측 다발은 슬관절이 굴곡 시, 후외측 다발은 신전 시 팽팽해지게 됩니다. 전방 십자 인대의 주 기능은 대퇴골에 대하여 경골이 전방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그 외 과신전의 방지 및 경골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능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방 십자인대의 손상은 주로 운동(스키,축구,농구등)중에 무릎관절에 굴곡 외전 내회전 등의 꼬이는(twisting)힘이 가해지거나 과도하게 무릎이 신전되는 경우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흔히 대퇴 부착부가 단열 되거나 인대 자체 또는 경골 부착부가 손상되게 됩니다.


2. 증상

손상을 입을 당시 무릎관절 안에서 뚝하는 느낌이 들기도 하며 수상 후 무릎이 부어 오르고(종창) 무릎관절의 불안정성(활동시 무릎이 흔들리는 느낌)을 느끼게 되며 심한 통증으로 보행이 어려워지게 됩니다.


3. 진단

정확한 진단과 빠른 치료가 좋은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수상 후 바로 정형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진단은 전방전위 검사(무릎관절을 움직여 보아서 하퇴가 전방으로 과도하게 전위되는지 알아보는 검사), 전방전위 X선 검사, 자기 공명 영상검사 ,관절경검사 등으로 할 수 있습니다.
전방전위검사는 90도 굴곡위치에서,경골을 전방으로 잡아당겼을 때 경골이 전방으로 5 mm 이상 전위되면 의미가 있게 됩니다. 락크만 검사는 0도∼20도의 굴곡위에서, 경골의 전방 전위를 측정하는 방법인데 이는 검출율이 높아 진단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기 공명영상검사는 전방 십자 인대의 손상 뿐만 아니라 관절 내외의 다른 구조물의 손상 여부도 알아볼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관절경 검사는 관절경을 이용하여 손상 부위와 정도를 쉽게 확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치료도 시행할 수 있어 좋은 검사 방법입니다.


4. 치료

치료는 손상 정도와 증세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크게 보전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전적 치료는 관절의 불안정성 등 증상이 경미하고, 손상이 적은 부분파열인 경우에 시행하는데 근 훈련, 보조기착용, 석고 고정 등으로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수술적 치료로는 일차적 수복과 재건술이 있는데 일차 수복은 경골, 대퇴골 부착부 에서 인대가 손상된 경우 시행하며 인대 자체에서 파괴된 경우 재건술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이란 손상된 전방십자인대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엔 무릎관절의 안정성이 유지되지 않으므로 슬관절이 쉽게 손상되고 결국에는 무릎관절염을 초래하기 때문에 정상 인대부착부위에 새로운 인대를 부착시켜 주는 수술을 말합니다

수술 방법
수술방법에는 크게 개방성수술(open SURGERY)와 관절경적 수술(arthroscopic surgery)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개방성 수술은 무릎관절에 10-15 cm정도 절개하여 무릎관절을 개방하고 새로운 이식인대를 부착시키는 방법이며 관절경적 수술은 관절 내시경을 이용하여 관절을 개방하지 않고 작은 절개를 통해 이식인대를 부착시키는 방법입니다.근래에 와서는 관절경의 발달과 술기의 발달로 인해 훌륭한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이식인대의 종류
재건술시 사용하는 이식인대는 다양한데 크게 자기의 신체 일부분의 인대나 인대 복합체 등을 이용하는 경우와 다른 사람 즉 사체에서 떼어낸 인대를(allograft)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둘 사이의 결과는 비슷한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이식인대는 무릎 관절을 이루는 슬개골과 슬개인대 경골의 일부분을 떼낸 슬개골 복합체를 이식하는 방법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일부 환자에서 떼어낸 부위의 동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대퇴사두 건, 장경대, 반건양근건박을 이용할 수 있고 동종이식건으로는 아킬레스건, 슬개골 인대 복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